SMALL
파이썬에서 기본으로 사용되는 할당연산자는 등호(=)이다. 등호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으로 할당한다.
할당연산자 | 기능 | 예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할당한다. | a = b 는 a = b 를 의미함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더하고 그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a += b 는 a = a+b 를 의미함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빼고 그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a -= b 는 a = a-b 를 의미함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곱하고 그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a *= b 는 a = a*b 를 의미함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나누고 그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a /= b 는 a = a/b 를 의미함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나눈 후 그 나머지를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a %= b 는 a = a%b 를 의미함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나눈 후 그 몫을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a // b 는 a = a//b 를 의미함 |
**= |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제곱하고 그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a ** b 는 a = a**b 를 의미함 |
반응형
LIST
'코딩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T 토큰을 이용해서 액세스 토큰 구현해보기 (0) | 2023.07.08 |
---|---|
JWT(Jason Web Token)토큰 만들기 (0) | 2023.07.08 |
pip 파이썬 패키지 관리자 (0) | 2023.06.19 |
모듈, 패키지,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이해하기 (0) | 2023.06.19 |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