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만든 증명사진 사용금지인데… 주민센터 10곳 중 9곳 “OK”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813/120689999/1
AI로 만든 증명사진 사용금지인데… 주민센터 10곳 중 9곳 “OK”
“인공지능(AI)이 만든 사진이라고요? 잘 모르겠는데….” 지난달 31일 기자는 서울 서대문구의 한 주민센터를 방문해 “주민등록증 사진이 오래돼 바꾸고 싶다”며 AI가 만든 사진…
www.donga.com
- 행안부 “사용 불허”… 현장선 제각각
- “컴퓨터가 동일인 인식해 문제 없다”
- 7곳, ‘AI프사’ 밝혀도 사진교체 허용“
- 실제 구분 어려워 허용범위 논의를”
[DBR]인간과 AI의 협업이 더 아름다운 창작 이끌어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813/120689807/1
[DBR]인간과 AI의 협업이 더 아름다운 창작 이끌어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예술 분야에 AI를 활용하는 ‘AI 아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전까지 AI 아트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AI가 사람과 같…
www.donga.com
- 예술 분야 AI 활용, ‘AI 아트’ 인기
- 인간 혼자보다 AI 협업 시 성과 더 좋아
- 결과물의 ‘알고리즘 혐오’ 경계해야
“인공지능이 수학자 대체할 순 없지만 연구방법 완전히 바꿀 것”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30813/120689789/1
“인공지능이 수학자 대체할 순 없지만 연구방법 완전히 바꿀 것”
“수학자는 지금껏 펜과 종이를 이용해 수학을 연구했지만 앞으론 인공지능(AI)이 수학 연구 방법을 완전히 바꿀 것입니다. 인간은 자신의 일이 언제 AI로 대체될지 모르기 때문에 …
www.donga.com
- 필즈상 수상한 테런스 타오 교수
- “AI 이용해 추측 증명 시간 단축
- 더욱 광범위한 연구 가능해져”
“AI와 친구 돼 볼래요”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813/120689704/1
“AI와 친구 돼 볼래요”
SK텔레콤이 11일부터 서울 잠실 롯데월드 위니비니 광장에서 운영 중인 ‘A. 프렌즈 팝업스토어’에서 관람객들이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 앱을 통해 ‘A. 프렌즈’와 대화하…
www.donga.com
딥브레인AI·CGV, 'AI 윤봉길 의사' 광복절 광고 캠페인 진행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30814_0002413321
딥브레인AI·CGV, 'AI 윤봉길 의사' 광복절 광고 캠페인 진행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딥브레인AI가 광복절을 기념해 윤봉길 의사를 AI 휴먼으로 구현했다고 14일 밝혔다
www.newsis.com
- AI 휴먼 기술 활용해 순국선열들의 희생 및 광복절 의미 되새겨
- 흑백사진 한 장으로 'AI 윤봉길' 구현
생성 AI가 상품 추천해주는 SKT '티딜'…1년새 거래액 80% 늘었다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8149102i
생성 AI가 상품 추천해주는 SKT '티딜'…1년새 거래액 80% 늘었다
생성 AI가 상품 추천해주는 SKT '티딜'…1년새 거래액 80% 늘었다, 이승우 기자, 산업
www.hankyung.com
- ‘티딜’의 올해 상반기 거래액이 10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5% 늘었다고 14일 발표
역전 노리는 아마존…"자체 AI칩으로 MS·구글과 차별화"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8148514i
역전 노리는 아마존…"자체 AI칩으로 MS·구글과 차별화"
역전 노리는 아마존…"자체 AI칩으로 MS·구글과 차별화", 최진석 기자, 산업
www.hankyung.com
- 빅테크 간의 생성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이 자체 AI칩 개발까지 확산.
- 아마존은 작년 말 오픈AI의 챗GPT 등장으로 촉발된 생성 AI 열풍에서 MS와 구글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 역전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 2가지
- 아마존은 자체 설계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것
- 클라우드 시장 1위(40%)를 차지하고 있는 AWS의 영향력